고물가, 고금리 시대 최근 난방비와 가스비 등 공공요금까지 들썩이면서 서민들의 아우성이 크죠. <br /> <br />그런데 이런 분위기와는 딴판인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모건스탠리가 지난달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, 한국이 '1인당 명품 소비' 전 세계 1위 국가에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해 한국인의 1인당 명품 소비액은 325달러, 우리 돈 약 40만 4천 원으로 미국 34만 8천 원, 중국 6만 8천 원 등을 제치고 1인당 소비규모로는 세계 최대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'명품의 나라'라고 알려진 이탈리아 현지에서도 "전 세계 명품이 한국으로 향하고 있다." "한국은 전 세계 명품 시장의 별이다." 라는 보도까지 나올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해외 명품 브랜드들이 한국으로 몰려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유통업계에 따르면 2021년 이후 한국 수입사와 계약을 종료하고 직접 한국 진출을 선언한 해외 브랜드가 8개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아예 한국을 주요 거점으로 아시아 시장을 공략하는 해외 명품 기업들도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보통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총괄하는 본부장은 홍콩이나 일본 법인이 맡는 경우가 많았는데, 요즘은 한국지사가 아태 지역 전체 사업을 총괄하는 기업들도 생겨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러한 변화는 국내 명품시장의 성장세만 봐도 알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명품시장 규모는 꾸준히 성장해 현재 세계 7위 규모를 기록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외신들은 한국의 명품 소비 열풍의 원인으로 자산 가격 상승과 한류, 그리고 소셜미디어를 통한 과시욕 경쟁 등을 꼽았습니다. <br /> <br />거기에 명품 기업들이 중국 의존도를 낮추려는 움직임까지 일자, 한국 명품 시장이 더욱 커졌다는 분석도 나오죠. <br /> <br />국내 백화점과 면세점도 최근 수년간 명품 판매로 상당한 수익을 올리면서 명품 부분 투자에 속도를 내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경기 침체 속에 세계적인 명품 기업들이 한국을 주목하고 있다는 점은 반길 만하지만, <br /> <br />난방비 폭탄으로 허덕이는 취약 계층에게는 너무 먼 나라 이야기처럼 들릴지도 모르겠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석원 (ancpar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210164812097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